한전의 전기요금 할인은 크게 복지할인 중심으로 운영됩니다. 장애인·국가유공자·기초생활수급·차상위·대가족/다자녀·출산가구 등 대상별로 온라인/모바일/방문 신청 방법을 정리했어요.
🧭 무엇이 할인되나요? (제도 개요)
- 전기요금 할인제도는 복지할인 중심이며, 사회·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운영됩니다.
- 주요 대상 예시: 장애인, 국가유공자, 기초생활수급/차상위, 대가족·다자녀·출산가구 등.
- 할인 방식·한도는 약관·공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한전 공식 안내에서 최신 기준을 확인하세요.
출처: 한국전력공사 전기요금 할인제도/사이버지점.
🧾 대상자 한눈에 보기 (예시)
구분 | 주요 대상(예시) | 비고 |
---|---|---|
복지할인 | 장애인, 국가유공자,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사회복지시설, 생명유지장치 사용자, 대가족/다자녀, 출산가구 등 | 대상·한도는 약관 및 공지에 따름 |
경로우대(노인지원) | 단순 연령 기준의 보편적 전기요금 할인은 없음. 다만 기초연금 수급·기초생활수급 등 복지 자격을 보유한 어르신은 복지할인으로 감면 가능 | 지자체·복지자격에 따라 달라짐 |
참고: 다자녀/출산가구 등 일부 항목은 월 한도·하절기 상향 등 세부 조건이 있습니다. 지침은 수시 개정되므로 공식 페이지에서 최신 안내를 확인하세요.
📝 신청 방법 (온라인·모바일·방문·전화)
- 온라인(PC): 한전 사이버지점 로그인 → 요금/납부 > 전기요금 할인 신청
- 모바일: 스마트한전/한전ON 앱 로그인 → 조회/납부 > 복지/할인 신청
- 방문: 가까운 한전 지사 또는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 접수
- 전화: 한전 고객센터 123 (본인 확인 후 안내, 팩스/우편 제출 병행 가능)
📎 준비물 & 적용 시점
- 기본: 전기요금 고객번호, 신청자 신분증
- 대상 증빙: 장애인등록증/국가유공자증/수급자 증명서/가족관계·주민등록등본(다자녀·대가족·출산가구) 등
- 적용 시점: 일반적으로 신청 월 고지분부터 적용(접수 시점·심사에 따라 차이 가능)
다자녀·출산가구 등은 세대 구성 확인서류가 필요합니다. 일부 지자체 안내 페이지(예: 다자녀 30%·월 한도 등)는 예시이며, 최종 기준은 한전 약관·공지에 따릅니다.
❓ 자주 묻는 질문(FAQ)
Q. 만 65세 이상이면 자동으로 경로우대 할인이 되나요?
아니요. 연령만으로 적용되는 보편적 전기요금 경로우대는 없습니다. 다만 기초연금·기초생활수급 등 복지 자격이 있으면 복지할인으로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.
Q. 다자녀·출산가구 할인은 어떻게 증빙하나요?
주민등록등본(세대원 전체), 가족관계증명서, 출생증명 등으로 세대 구성·출산 사실을 확인합니다. 월 한도·기간은 약관 및 공지 기준을 따릅니다.
Q.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면 어디서 도와주나요?
한전 고객센터 123 또는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 서류는 팩스·우편 제출도 가능해요.
Q. 언제부터 할인되나요?
보통 신청 월 고지분부터 반영되지만, 접수 처리 시점에 따라 다음 달부터 적용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