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어느 순간 용량이 꽉 차면서 서버가 멈추거나 경고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이럴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디렉토리별 용량 사용 현황입니다.
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죠
- 💾 서버 디스크 용량 부족 경고 발생
- 📂 /var, /home, /tmp 등에 공간이 갑자기 소모되었을 때
- 🔧 서버 성능 이슈 발생 전 사전 점검
이 글에서는 리눅스 서버에서 디렉토리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을
du, df 명령어를 중심으로 쉽고 정확하게 정리했습니다.
구글 검색에서 자주 찾는 명령어 예제도 함께 제공합니다. 👇
✅ 1. du -sh * : 현재 디렉토리 하위 용량 요약 확인
du -sh *
📌 의미
- -s: 디렉토리별 요약
- -h: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 (KB, MB, GB)
💡 예시
$ du -sh * 1.1G var 432M etc 3.9G home
✅ 2. du -h --max-depth=1 /경로 : 하위 디렉토리별 용량 상세
du -h --max-depth=1 /경로
📌 사용 이유:
- 특정 디렉토리 하위 폴더들의 사용량을 1단계 깊이로 확인
- 대용량 폴더 빠르게 찾기 용이
💡 예시
du -h --max-depth=1 /home
✅ 3. df -h : 전체 디스크 사용량 확인
df -h
📌 의미:
- 전체 파일시스템의 용량, 사용량, 남은 공간 확인
- % 사용률로 용량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
💡 예시 출력:
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 /dev/sda1 50G 42G 5.5G 89% / /dev/sdb1 100G 20G 80G 20% /data
✅ 4. du -sh /경로 : 특정 디렉토리 전체 용량 확인
du -sh /var/log
📌 예:
- /var/log, /tmp, /home/user 등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경로를 빠르게 스캔
✅ 5. du --apparent-size : 실제 파일 크기 기준 확인
du -sh --apparent-size /경로
📌 차이점:
- du는 실제 디스크에 사용된 공간 기준
- --apparent-size는 파일이 차지하는 논리적 크기 기준
🔄 실전 활용 예시: 서버 용량 점검 루틴
df -h du -sh /* du -h --max-depth=1 /var | sort -hr
🎯 결론
리눅스 서버에서는 주기적인 디렉토리 용량 확인이 중요합니다.
du, df 명령어만 잘 활용해도 대부분의 디스크 문제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어요.
💡 특히 /var, /home, /tmp 경로는 자주 확인하고,
용량 부족 시에는 로그 정리, 캐시 삭제 등을 통해 공간 확보가 필요합니다.